뭐 엄청 차후의 일이지만.. 안퀴는 커녕 검둥도 이제 패치될까 말까 한 판국에 이야기 하는것이 웃기지만요.. ㅋㅋ
은빛여명회 평판은 "어깨마부" 때문에 가는 것이 아니라,
차후 클래식 최고의 던전 "낙스라마스" 입장료 때문에 미리 가 두는 겁니다..
① 약간 우호적이 되면, 은빛여명회 병참 장교에게 물건을 구입하고 수리할 수 있다.
② 약간 우호적 이상이 되면, 은빛여명회 전투 장비 퀘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③ 은빛여명회 평판에 따라 낙스라마스(40인용 레이드 인던)의 입장 비용이 달라진다.
평판 단계
낙스라마스 입장 비용
우호적
60 골드, 마력의 결정체 2개, 신비한 수정 5개, 정의의 보주 1개
매우 우호적
30 골드, 마력의 결정체 1개, 신비한 수정 2개
확고한 동맹
무료
④ 은빛여명회 평판에 따라 병참 장교에게 음식과 음료를 구입할 수 있다. ⑤ 은빛여명회 평판에 따라 다양한 전문 기술 제조법을 구입할 수 있다. ⑥ 매우 우호적 이상이 되면, 어깨 방어구에 각종 저항력 마법 부여를 할 수 있다. ⑦ 매우 우호적 이상이 되면, 머리와 다리 방어구에 냉기/암흑 저항력 마법 부여를 할 수 있다. (1.11 패치 추가 사항으로서 아직 정확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⑧ 매우 우호적 이상이 되면, 낙스라마스의 NPC 오마리온에게 전문 기술 퀘스트를 받을 수 있다.
※ 낙스라마스의 3 단계 방어구, 죽음의 룬을 각종 물약과 교환하는 퀘스트는 은빛여명회 평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출입국/탑승 정보 ① 출국 심사를 위해 90분전 도착 혹은 최소 45분 전까지는 심천북역에 도착 ② 성인은 20kg, 아동은 10kg로 제한 (각 수하물 크기의 총합은 130cm를 초과불가) ③ 지하 1층에 있는 매표 홀에서 신분증 확인 후, 첫 번째 게이트 구역에서 수하물 검사 및 보안 검색 ④ 지하 3층 출발 홀로 내려가 홍콩 및 중국 본토 통관 절차를 한 번에 완료 ⑤ 출발 홀에서 대기 후 안내에 따라 지하 4층 두 번째 게이트 구역을 통과 ⑥ 게이트는 출발 시각 5분 전 폐쇄되니 참고. https://annerheekim.blog.me/221491026903https://blog.naver.com/min663/221502801352 참고.
AHVA:벤큐에서 개발하였다. 광시야각, sRGB 기준 100% 색재현율 등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다.
낮은 응답속도개선,
시야각 개선
NANO IPS
NanoIPS 나노미터(nm)단위 미세분자를 활요해 만든 기존모니터에 비해
더적은 입자로 불필요한색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원색표현을 더 잘보여준다고합니다
영상및 그래픽작업하시는데 좋을거같네요 HDR표현력도 좋다고합니다
문제는 가격 대부분 시중에나와있는거는 최소120만원 이상이며 특정 제품은 국내에 물량도 없습니다
나노ips로 4k및 지싱크가 포함된 제품이
상반기혹은 하반기에 나온다고하는데 거의 예상가격은 200~ 300만원이라고합니다
VA패널
장점: 넓은시야각, 높은명암비 3000:1 색표현력8Bit
단점: 느린응답속도(4~5ms) ,빛샘현상,
추천용도:영화 감상및 동영상
파생형 VA
PLS
패널은 삼성에서 생산하는 VA패널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VA의 장점은 더욱 발전시키고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패널입니다. 색재현율, 휘도, 명암비 등을 개선되어 더욱 선명하고 소비전력은 낮아진 반면에 VA 패널의 단점이었던 응답속도도 개선이 되었습니다.
시야각은 기존과 같은 178도 광시야각으로써 상하/좌우로 넓은 시야각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 위에 말한 추천용도는 그모니터만 쓰라는게 아니고 다른 패널보다
조금더 성능이 더좋다고 알려진것이니 너무 오해안하셨으면 하고 요즘은
다 기술력발전으로 크게 떨어지는것은 시야각 및 반응속도 정도입니다
모니터 게임용 및 부가기능
소개할 부가기능이 추가된 제품은 모니터 가격이 수직상승으로 올라갑니다
HDR
모니터의 부가기능 HDR 및 규격
hdr10등 hdr 400~100까지 많은 규격이있는데요 현재 대부분의 기업들은 베사에서
나온 규격을 사용할려는 움직이 많네요 가격은 1000대가 가장비싸고 이유가 모니터에
따로 모듈이 들어간다고합니다 지싱크도 아래에서 소개할건데 프리싱크는 소프트웨어
기반이라고 합니다 추천은 600이상추천합니다 400후기들보면 크게
다른점을 느끼기 힘들다고합니다
HDR400
디스플레이 HDR 400은 화면의 최고 밝기가 400cd/㎡, 화면의 콘텐츠 영역 최소 밝기가 320cd/㎡, 95%의 ITU-R BT.709 만족, SDR 대비 넓은 색상 영역 및 대비값, 트루 8-비트 이미지 품질 요구
HDR600
디스플레이 HDR 600은 화면의 최고 밝기가 600cd/㎡, 화면의 콘텐츠 영역 최소 밝기가 350cd/㎡, 99%의 ITU-R BT.709 및 90%의 DCI-P3 65 만족, 10-비트의 이미지 프로세싱 요구
HDR1000(가장비쌈)
디스플레이 HDR 1000은 화면의 최고 밝기가 1000cd/㎡, 화면의 콘텐츠 영역 최소 밝기가 600cd/㎡, 99%의 ITU-R BT.709 및 90%의 DCI-P3 65 만족, 10-비트의 이미지 프로세싱 요구
추천용도는 콘솔게임이나 HDR지원하는 게임및 HDR영상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G-Sync
NVIDIA 사에서 개발한 G-Sync 기술은, 그래픽 카드에서 만들어진 영상 신호를 모니터에
보여 주는 사이에 생기는 미세한 시간 차이로 화면이 틀어지는 테어링(Tearing) 현상을 억제해줍니다.
주로 화면 전환이 빠른 FPS, 액션 장르의 게임에서 자주 발생하며 G-Sync 기능을
이용하면 프레임이 감소와 테어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지싱크는 중요한점은 현재 국내에 나와있는 대부분은 모델은은 1세데 지싱크이다
이것의 단점은 HDR 이사용이 안되는점이있다 그래서 대부분 국내용 지싱크모델은
게임용으로 구입할려고하다보면 HDR이없는 모델이 많다 그리고 120hz한계
이유는 DP포트 버전이 1.2라서 버전이라서 그런걸로 알고있다 지금도
2세대 지싱크모델이있긴한데 거의 200~300만원이다 2세대 지싱크는 얼티메이트로 불린다
프리싱크
Adaptive-Sync로 불리기도 하는 AMD 사의 FreeSync 기술은 NVIDIA 사의 G-Sync 와 유사하게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를 연동시켜 프레임 저하와 테어링(Tearing) 현상을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테어링은 화면이 찢어져 보이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
NVIDIA G-Sync와 기술적인 차이로 구현 방식은 달라 실질적인 성능 차이가 있으나, 모니터에 별도의 제어 장치가 필요 없다는 장점과 기술 라이선스가 무료이기 때문에 제품 자체가 저렴해 최근 각광 받고 있습니다.
어댑티브 싱크
19년 1월부터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하면 VESA 표준의 어댑티브 싱크 및 FreeSync 사용이 가능해졌다 이유는 비싼지싱크 모듈가격 모든제조사가 거의 프리싱크 기능을넣자 점유율등 문제로 지원하기로 했다는걸로 알고있다 즉 프리싱크에서 지싱크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싱크기능을 사용할수 있게해주는데 아직까지 화면 깜빡이는 문제등 100프로 호환성등 모든 프리싱크제품에 사용
하기는 힘들다고 한다
사용하려면 다음 조건이 필요하다
모니터에서 프리싱크를 지원
최신버젼의 NVIDA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v417.71 이상)
DP케이블 연결 (HDMI 등 다른 연결은 불가능)
GTX 10 시리즈, RTX 20시리즈만 가능
윈도우10 이상에서 가능
본인 모니터의 정확한 싱크 범위 파악.
주의) 싱크 범위를 넘어가면 Sync가 풀려버림
가격상승에는 크게 지장이 없으나 시력보호를 위해 필요한기능
모니터를 오래 사용하시는분에게는 추천하는 부가기능 입니다
플리커 프리
블루라이트 차단
눈부심 방지
게임별최적인치용도 (개인적생각)
RPG류 : 27인치 이상 와이드도 괜찮다고 봅니다 디아블로 같은 쿼터뷰 방식게임은 로아등등
간단이 말하면 모니터와 키보드에 입력 따른 지연율 키보드입력에서 모니터 총을쏜다던가 같은 입력반응시간 같은거라고 보면됩니다 제품보기해도 잘안나와 있는경우가 많고
리뷰회사마다 측정하는방법도 조금씩 틀립니다 저는 아주유명한 모니터 전문 사이트를 링크겁니다 참조하세요 국내에서는 표시가 잘안되있습니다자신이 구입할 모니터검색하시면 대부분 나올겁니다 특히 fps류나 롤이나 스타같은 반응속도가 중요한게임에 매우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콘솔게임도 포함 https://www.rtings.com/tv/tests/inputs/input-lag
gdi 엔진은 요즘 말 그대로 전용오일써야 합니다. 특히나 터보는 더욱.. 터보씬이 순정으로 젤 먼저 나왔고, 가성비 대비 별로라고 봅니다. 메가터보씬이 요즘 새로 나왔습니다. 스팅어 개발 전부터 gdi터보 전용오일로 만든 제품이죠 터보씬 업그레이드 제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메가터보씬은 그비싸고 좋은 gtl 기유가 다량포함된 합성유 입니다. 지금은 g70 등 터보 전용 합성유 입니다.
sn 으로 표기되어있고, 플러스급인데 단지 새로바뀐 오일등급 규정법에 다시 안받아서 sn으로 표기된다 라는 썰이 있습니다.
타이어는 비싼게 좋습니다~~ㅎㅎ 제요지는 타이어는 개인 취향에 맞게 선탭하시면 되시고 여기서 팩트는 공기압입니다.공기압은 모든차에 도어옆에 써진데로 주입하시면됩니다.
타이에에 표기된거에 70프로80프로 하시는데 그건 절대 아니라고 합니다. 장거리 운행이 많으면 자차에 적힌데로 공기압으로 운행하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