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11월 11일 광군제를 맞이해서 몇가지 물품을 살려고 한다.
그 중에서도 핸드폰을 하나 사서 지금 해외용으로 쓰는 아이폰5 64기가를 처분할려고 한다.
모든 쇼핑이 그렇듯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누가 만든 것을 살 것인가 하는 점이다.
스마트폰이라고 해도 다 같은 것이 아니다. 일단 중국에서 워낙 폰을 만드는 회사가 많은 관계로 이름을 들어본 유명상표를 권한다.
1. 메이커 : 유명회사 제품
1순위 : 우리나라에만 안 팔지 해외에서는 많이 팔리는 레노버, 화웨이, 쿨패드, ZTE, asus
2순위 :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샤오미, 단 하나의 폰으로 강호를 점령한 원플러스원, 깔끔한 디자인에 아이폰을 그대로 빼어 닮은 메이쥬
2. 하드웨어 사양
일단 제조사를 정했으면 다음으로는 CPU, 액정사이즈, 램, 롬 등의 하드웨어 사양을 살핀다. 중국산 제품들은 퀄컴이나 삼성전자 제품을 주로 쓰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중국의 퀄컴이라 불리는 대만 미디어텍 제품을 주로 쓴다.
미디어텍 제품은 쿼드코어는 물론 심지어 옥타코어까지 나온다. 요즈음 추세나 소비자 눈높이를 생각하면 쿼드코어는 조금 낮은 감이 있으니 옥타코어 정도를 권한다.
참고로 화웨이 같은 회사는 직접 CPU까지 만들어 생소할 수 있으나 코어, 클럭을 살피면 무난한 성능이 나온다.
대략 5인치에 1280*720 이상의 해상도면 상당히 선명하다.
램은 2~3GB, 내장메모리는 16~32GB. 이건 다다익선이다.
요즘은 보통 듀얼 유심(메모리 자리에 유심장착 가능)도 많으니 확인하자.
보통 배터리는 내장형이고, 탈착형이라도 충전 슬롯은 없다.
3. 소프트웨어.
한글화 된것을 사자.. 정신건강에 좋다.
어차피 영어만 표기 잘 되도 쓰는데는 지장 없지만, 골때리는 상황이 되면 한글이 절실해진다.
아수스 젠폰, 시아노젠모드를 쓰는 원플러스원 등은 거의 완벽한 한글화.
그밖에도 상당수 폰 제조사가 기본으로 한글을 지원하지만 복잡한 부분은 영어 그대로 표시되고, 영어면 좋은데 초기에는 중국어로 떴다..
물론 영어라고 해도 키보드만 따로 설치하면 한글입출력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
4. 어플 디자인
샤오미는 MIUI, 화웨이는 Emotion, 원플러스원 커스텀롬으로 유명한 CM(빠르다)을 쓴다.
5. 주파수
3G의 경우 WCDMA라고 쓰여 있는 제품을 사면 큰 문제없이 쓸 수 있다. GSM이라고 되어 있는 방식은 국내에서 쓸 수 없다.
4G, LTE는 좀 더 살펴야 한다.
국내 모두 LTE FDD. 중국의 경우 주로 LTE TDD를 쓴다. 하드웨어적으로 틀린거라 방법없음.
참고로 중국 3개 이동통신사 중 China Unicom /연통(联通-렌통이라 발음) 제품을 사면 된다.
5-1) 유플러스를 쓰는 경우다.
3G가 없이 2.5G에서 4G로 바로 올라온 유플러스의 경우 사실상 쓸 수 없는 중국폰이 없다.
현재로서는 유플러스 유저는 중국폰을 쓸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쉽다.
기술적으로 말하면 VoLTE를 쓸 수 없어 어찌어찌하면 데이터통신은 되지만 음성통화를 할 수 없다.
5-2) SKT.
KT의 경우 1800MHz, 즉 1.8GHz를 주력 주파수 대역으로 쓴다. 중국폰 대부분은 이 대역폭을 그대로 지원한다.
그런데 SKT는 850MHz가 주력 대역폭이다.
문제는 SKT는 멀티캐리어 보조망으로 1.8GHz를 쓴다는 점이다. 그래서 SKT는 850MHz와 1800MHz 두 주파수가 모두 적용되는 지역에서만 LTE로 잡힌다.
다른 지역에서는 LTE폰이라고 하더라도 3G 주파수로만 연결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주파수가 나눠져 있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문제다.
SKT 유저 가운데 일부는 MMS 그러니까 장문메세지가 제대로 주고받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다.
간단하게 3G로만 작동한다고 생각하면 편하고 가끔 MMS도 작동 안하는 경우도 많다고 보면 된다.
5-3) APN
ccess Point Name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각종 약속을 정해놓은 것이다. 당연히 국내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은 알아서 이를 잘 잡지만, 외산 제품들은 이에 대한 배려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통화는 되더라도 데이터 통신이 되지 않거나, 문자 메시지는 보이는데 MMS는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번거롭더라도 이 부분은 수동 처리하는 방법밖에 없다. 설정창에 모바일네트워크 항목에 APN을 따로 잡아주면 그때부터 스마트폰의 통신을 제대로 할 수 있다. 통신사마다, 3G와 LTE마다 조금씩 다르니 이를 입력해준다. 한글자라도 틀리면 제대로 통신이 되지 않으니 신중하게 입력한다.
"SKT 3G APN 설정값"
- APN : web.sktelecom.com
- MMSC : http://omms.nate.com:9082/oms_mms
- MMS프락시 : smart.nate.com
- MMS 포트 : 9093
- MCC : 450
- MNC : 05
"SKT LTE(4G) APN 설정값"
- APN : lte.sktelecom.com
- MMSC : http://omms.nate.com:9082/oms_mms
- MMS프락시 : lteoma.nate.com
- MMS 포트 : 9093
- MMS 프로토콜 : WAP 2.0
- MCC : 450
- MNC : 05
"KT 3G APN 설정값"
- APN : alwayson.ktfwing.com (iPhone) / alwayson-r6.ktfwing.com (Android)
- MMSC : http://mmsc.ktfwing.com:9082
- MMS 포트 : 9093
- MCC : 450
- MNC : 08
"KT LTE(4G) APN 설정값"
- APN : lte.ktfwing.com
- MMSC : http://mmsc.ktfwing.com:9082
- MMS 포트 : 9093
- MCC : 450
- MNC : 08
이렇게 설정을 변경한 뒤에, 재부팅을 한 번 해주면 작동한다
이외에도 https://apn-korea.gishan.net 도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6. 문제점.
6-1) 구글플레이
중국 현지폰을 사서 국내에서 쓰는 경우에 가장 흔히 겪는 문제가 바로 구글관련 어플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구글 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어플을 내려 받는 것은 물론 주소록 등의 동기화가 이뤄지는데, 이에 대한 검열 등을 요구하는 공산국가인 중국정부와의 갈등으로 중국내수제품은 아예 구글플레이가 삭제된 채로 출시된다.
6-2) 전파인증
전파인증 : 흔히 EMI 또는 KC인증이라고 하는 전파인증은 국내에 판매되는 전자기기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일종의 안정성 시험이다. 미래부산하 국립전파연구원에서 이를 책임진다. 반드시 이를 통과해야만 국내 판매가 가능하다. 문제는 중국폰의 경우 이런 인증을 받을리 없겠지.
정부는 판매가 아닌 개인목적으로 쓸 경우에는 개인당 한 대에 한해 인증을 면제해주고 있다. 그런데 이 한 대라는 기준이 모델당 평생 단 한 대다. 즉 샤오미 MI3가 마음에 들어 한 대 사고, 애인을 위해서 또 한 대는 안 된다는 뜻이다. 개개인의 명의로 별도로 통관을 해야 가능하다. 최근 세관통관이 꼼꼼해져서 이를 세심하게 살피니 설마하고 여러 대를 주문했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세관통관고유번호 :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http://portal.customs.go.kr/main.html)
6-3) 세금.
스마트폰은 일단 관세가 면제다. 따라서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대신 부가세 10% 과세.
FTA협정에 따라 미국 $200, 중국 수입 $150 면세, 그 이상 과세.
6-4) 엑세서리 : 액정보호필름이나 케이스는 반드시 함께 주문하는 것이 좋다.
구매 안 하면 또 한달 기달려야 하니, 핸드폰 주문할때 같이 하자.
----------------------------------------------------------
핸드폰구매 > 보험가입(새것만 가능)
가입을 위해 KT대리점을 방문 > 해외제품은 상위부서에 문의 하라는 답변.
고객센터(KT보험센터)에 전화
1. 구입영수증(구매한 모델의 모델명, 결제금액, 결제수단 등이 확인되어야함.)
보험센터에서는 해당 부분은 백화점측에 별도로 확인요청을 할 것이니 영수증은 그냥 사진찍어서 보내달라고 하였습니다.
2. 상품설명서(이메일/팩스로 전송해줌)
- 상담원에게 이메일이나 팩스로 받을 방법을 말해주면 보내줍니다. 출력해서 자필로 정보 작성 및 서명해서 사진찍으면 됩니다.
3. 단말기정보 캡쳐사진
- IMEI 캡쳐본, 단말기 일련번호 및 WIFI MAC주소 캡쳐본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준비해서 메일 혹은 팩스로 보내고 보험센터에서 서류 확인이 되었다면 이제 다시 대리점에 방문합니다.
대리점을 방문한다해서 바로 가입이 되진 않습니다. 앞서 서론에 적듯이 권한이 없어 안된다고만 합니다. 이 때 보험센터에 전화해서 자급제폰 보험가입이고 이와 관련하여 서류는 센터에 모두 제출했으며 이제 가입하려고 대리점 왔다라고 말하면 상담원이 대리점 직원과 통화 할 수 있게 바꿔달라고 합니다.
그 뒤부터는 대리점직원과 상담원과의 통화로 전산작업이 진행됩니다. 진행되는 것을 보니 대리점 직원도 이런 케이스의 가입은 처음인 것으로 보이더군요. 그렇게 두사람간의 진행이 끝나고 제가 가입하려고하는 상품만 알려주면 가입처리는 끝이 납니다.
-------- HD VOICE
자급제폰이라 기본적으로 Hd Voice는 미가입으로 됩니다. 별도로 통신사에 신청해야하고 역시나 고객센터에 전화를 합니다. (이번엔 통신사고객센터)
통신사 고객센터에 자급제폰이고 Hd Voice를 가입하기 원한다라고 하면 IMEI 번호를 알려주고 신분증을 보내줘야합니다.
IMEI는 전화 중에 확인 하여 바로 알려주면 되고 신분증은 별도의 url 링크를 문자로 보내줍니다. 그 url로 접속해서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를 가리고나서 사진파일을 올려주면 됩니다. 신분증확인 후 처리전화가 오기까지 10분내외 걸린 것 같습니다. 처리완료 연락이 오면 재부팅 후 VoLTE가 뜨더군요.
--------
외산폰이라 기본적으로 통화녹음기능이 없더군요.
그래서 T전화를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녹음기능이 잘되네요. KT라해도 SKT에서 T전화를 3사모두 사용 가능하게 해줘서 잘쓰고 있습니다.
이정도...자급자제폰 가입하면서 겪은 일들입니다. ㅎㅎ...팁이 될지는 모르겠네요 ㅎㅎ